반응형
본인은 집에서 그나마 최신 노트북 1대 (i5, 8GB RAM, 128 SSD) 와, 6-7년전에 조립한 데스크탑 컴퓨터 (3TB HDD)를 사용중이었으나, 속도가 느린 데스크탑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관계로 금번에 이사를 하면서 과감하게 데스크탑을 버리기로 결정하였다.
다만 데스크탑에 있는 3TB 하드디스크 (3.5인치) 를 꼭 데이터 저장용으로 써야 하는 관계로 노트북에 외장하드형태로 붙여 쓸 생각을 해보았으나, 노트북에 3.5인치 HDD 가 붙어있는 모양새가 맘에 걸려, 기가인터넷으로 인터넷 환경을 바꾸면서 NAS (시놀로지 DJ216J 모델) 를 구축할 생각을 했었다.
그러던중, Wifi 무선공유기에 USB 단자가 있어 잘 만 활용하면 간이 NAS 정도로 집안에서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읽기/쓰기, 그리고 외부에서 HDD 에 접근해서 읽기/쓰기가 가능해 보여서 일단 공유기만 구입해서 시도해 보기로 결정1. 기가인터넷 설치
우선 데이터 읽기.쓰기 할 경우에 Wifi 를 통해 초당 10Mb/s 를 넘는 속도로 인터넷을 하려면 무엇보다 기가인터넷 설치가 필요해서 이사하면서 집안에 들어오는 인터넷을 SK 브로드밴드의 1,000Mbps ( 기가 라이트는 500Mbps) 로 구축을 하였다.
2. 기가 무선공유기 설치
공유기는 ipTIME 의 A3004NS-DUAL (제품소개 페이지 : http://iptime.com/iptime/?page_id=11&pf=3&page=&pt=276&pd=1)
3. 공유기 USB 단자에 HDD 연결
4. 공유기에서 ipdisk 세팅
여기서 잠시 본인이 삽질을 많이 했는데, 모든 세팅이 정상적으로 끝이 났으나, 내부에서 Wifi 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XXXX.ipdisk.co.kr 로 수도없이 접속을 해보아도 접속이 되지 않았다. 휴대폰을 통한 LTE 망이나 기타 타 네트웍을 통해 접속하면 ipdisk 의 HDD 접속에 문제가 없어 보였으나 내부에서만 문제였다. 공유기를 설치한 주말 내내 삽질하다가 ipTIME 의 QnA를 뒤져봐도 타 공유기 하위에 공유기가 또 붙어있는 형태라면 주소로 접속이 가능하지 않을수 있고 정 안되면 내부에서는 ip 주소로 접속하라고 안내가 되어 있어 고민고민하다가 우연히 ftp://192.168.0.1 (기본포트 21 로 설정) 로 접속을 해보니, 내부에서 정상접속이 가능 !! (아직 내부망에서 XXX.ipdisk.co.kr 로 접속할수 있는 방법은 못찾음)
컴퓨터에 장착된 HDD 를 쓰는것과 같은 수준의 속도가 나올까 ? 하고 테스트해보니, 대략 5MB/s ~ 15MB/s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걸로 봐서 대략 만족.
집 밖, 외부에서는 ftp://xxx.ipdisk.co.kr 로 접속한다음, "윈도우탐색기에서 보기" 로 하게 되면 내 하드디스크를 쓰는것처럼 쓸수 있다
NAS 장비 들이지 않고 간단히 공유기에 HDD를 붙여놓음으로써 NAS 와 같은 형태의 기능이 구현이 된다니, 너무 편리하다.
728x90